-
합성 암호체계(hybrid cryptosystem)전공/컴퓨터보안 2020. 6. 5. 10:56
합성 암호체계(hybrid cryptosystem)란, 공개키 방식에 '효율성'이 장점인 대칭키 방식을 섞어 둘의 장점만을 취한 암호화 기법이다.
공개키의 가장 큰 장점은 '키를 공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공개키는 누구나 알기 때문에 공개키로 암호화를 할 수는 있으나, 복호화는 개인키로만 가능하니까 개인키를 알고 있는 특정한 사람만 풀 수 있기 때문이다.
대칭키 방식이 효율성이 좋은 이유는 공개키 방식보다 암호화, 복호화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칭키 방식에서는 암호화, 복호화를 단 하나의 키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 복호화를 하는 사람들끼리만 알고 있어야 한다.
합성 암호체계는 이 두 방식의 장점만을 취한다.
밥이 앨리스에게 정보를 보낸다고 하자.
밥은 대칭키 암호 K를 앨리스의 공개키 암호로 암호화한 암호문{K}과 대칭키 K와 평문 P를 암호화한 암호문E(P, K) 두 개를 밥에게 보낸다.
{K}를 받은 밥은 자신의 개인키 암호로 대칭키인 K를 풀어내고, 얻은 K로 E(P,K)를 복호화해서( D(E(P,K), K) ) 평문 P를 얻게 된다.
이러한 합성 암호체계를 사용한 예시는 디피헬먼 방식이 가장 대표적이다.
'전공 > 컴퓨터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시 함수 (0) 2020.06.05 공개키 - 서명과 부인봉쇄(Non-repudiation) (0) 2020.06.05 공개키 암호 - 디피헬먼(DH) (0) 2020.06.04 공개키암호 - RSA (0) 2020.06.04 공개키암호 - 배낭암호 (0) 2020.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