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데이터베이스
-
EER(Enhanced Entity-Relationship) 모델링전공/데이터베이스 2020. 6. 9. 17:03
EER 다이어그램은 ER 다이어그램에 없던 하위 그룹핑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서브클래스(서브타입)를 사용한다. 상단의 예시를 보면서 설명하겠다. EMPLOYEE엔터티와 다른 엔터티를 잇는 접점에 d 기호가 존재한다. 여기서 SECRETARY, TECHNICIAN, ENGINEER는 서브클래스가 되며, EMPLOYEE는 슈퍼클래스가 된다. d는 disjoint를 뜻하고 서로소를 의미한다. 즉, SECRETARY, TECHNICAN, ENGINEER는 서로소 관계에 있으므로 EMPLOYEE의 역할을 셋 중에 무조건 하나만(한 직업만)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슈퍼클래스와 서브클래스 관계를 표현할 때에는 superclass/subclass 로 표현한다. 즉, EMPLOYEE/TECHNIC..
-
엔터티-릴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모델링전공/데이터베이스 2020. 6. 9. 16:01
DB 설계 과정의 개요 이 포스트는 개념적 설계 위주로 설명한다. 위의 그림은 DB 설계과정을 간략화했다. 각 과정을 겪고 난 뒤에는 항상 documentation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미니월드에서 시작해서 요구명세서를 분석한 뒤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생성되고, 개념적 설계를 끝내면 개념 스키마(ERD)가 나오고, 논리적 설계(매핑)를 끝내면 (기계 의존적인)개념 스키마가 생성된다. 논리적 설계를 기점으로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의존하게 된다(=프로그램-데이터 독립성을 잃게 된다). 개념적 설계는 ERD, EER, UML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ER 모델 개념 엔터티와 속성 - 엔터티 : 현실 세계의 객체를 개념화한 것이다. 하나의 엔터티는 물리적 ..
-
DB 개념과 구축전공/데이터베이스 2020. 6. 9. 14:58
데이터 모델의 3가지 요소 데이터모델은 구조, 연산, 제약조건의 3요소가 존재한다. - 구조 : 개체 타입들간의 관계를 지정한다. - 연산 : db를 검색, 갱신, 삽입 등의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제약조건 : 연산하는 데이터에 제약조건을 건다. 스키마 DB에 대해 설명 및 정의. 정의하는 거니까 잘 바뀌지 않는다. DB 구조, 데이터 타입, 제약조건의 내용이 포함된다. 외부, 개념, 내부 스키마 (겁나 중요) 스키마는 크게 3개로 나뉜다. 나뉘는 이유가 중요한데, (1)프로그램과 데이터간 독립성을 띠게 하기 위함이고, (2)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외부 스키마 사용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한 스키마다. 스..
-
데이터베이스 개요전공/데이터베이스 2020. 6. 8. 15:12
데이터베이스는 작년 공모전 준비로 빡세게 공부했었고, 올해도 자격증때문에 많이 공부해서 복습하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그런지 필기도 보면 딱히 추가적으로 적은 게 없네.. 필기 내용이 적긴 하지만 그거라도 써야겠다. 보통 DB의 성능을 판단할 때는 정규화, 무결성으로 판단한다. OS는 프로세스 단위 vs DB는 트랜잭션 단위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쿼리 언어 교수님께서 DB의 세가지 목표는 스키마, SQL, 트랜잭션(아마?) 이라고 하셨다. 수업도 순서대로 진행되겠다. DBMS의 추가기능은 비인가접근 방지(ex. 군대 기밀문서), 시각화(ex. PL/SQL에서는 HTML로 DB를 보여줌)가 있다. ERD에서 D가 뭔지 몰랐는데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