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
공개키암호 - 배낭암호전공/컴퓨터보안 2020. 6. 4. 13:20
공개키 암호 공개키는 대칭키보다 굉장히 특별하게 수학적이기 때문에 종류가 대칭키만큼 다양하지는 않다. 이러한 유닠-크한 암호인 공개키는 "트랩도어 단방향 함수"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함수 이름도 유닠-크한데, 간단하게 말하면 한쪽으로의 계산은 쉽지만 반대 방향은 계산이 어렵다는 뜻이다. 물을 쏟기는 쉽지만 쏟은 걸 다시 담기는 매우 어려운 것처럼. 즉, N = pq(p,q는 소수)일 때, p와 q를 알면 N의 값을 구하기는 굉장히 쉽지만 N값만 가지고 p와 q를 찾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대칭키에서는 평문은 P(Plaintext), 암호문은 C(Ciphertext)로 표기하였으나 공개키에서는 평문을 M(Message)라고 한다. 공개키를 사용할 때에는 개인키(private key)..
-
혼돈과 확산, 대칭키 암호전공/컴퓨터보안 2020. 6. 4. 12:18
혼돈과 확산 2차 세계대전 이후 섀넌 할아버지는 암호학의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혼돈'과 '확산'이다. 혼돈 평문과 암호문의 상관 관계를 없애는 성질. 평문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하는 행위라고 보면 된다. 확산 평문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빈도수를 없애버리는 특성. 평문의 문자 위치를 ‘이동’하는 행위라고 보면 된다. 명칭과 뜻이 직접적으로 매칭이 안되서 헷갈린다. 혼돈 => 치환, 확산 => 이동 대칭키 암호 암호화와 복호화시 필요한 키가 동일한 암호방식이 대칭키 암호다. 대칭키 암호는 크게 스트림암호와 블록암호로 나뉜다. 스트림암호 스트림 암호는 일회성 암호의 성질을 계승한다. 일회성 암호의 특징이 키의 양을 늘리는 방식이었다. 스트림 암호는 그 양이 줄어..
-
컴퓨터보안 개요전공/컴퓨터보안 2020. 6. 4. 11:15
앨리스, 밥(착한 친구들) vs 트루디(나쁜 친구들) CIA(Confidentiality / Integrity / Availability) Confidentiality(기밀성 또는 비밀성)은 비인가된 사람이 정보를 읽는 행위를 방지하는 것이다. Integrity(무결성)은 비인가된 사람이 정보를 변경하는 행위를 방지하는 것이다. Availability(가용성)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암호의 기본 지식 - 평문 + 키 => 암호화(암호문 생성) - 암호문 + 키 => 복호화(평문 복구) - 암호화, 복호화할 때의 키가 동일 : 대칭키(symmetric key) / 키가 다름 : 공개키 (키가 같아야 풀 수 있는 대칭키는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만 공개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