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선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
정보 전송이 필요할 때 상대방을 호출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전송이 끝날 때까지 연결은 지속되며, 연결된 둘을 제외하고는 회선공유는 되지않는다.
접속시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며, 연결이 안될 수도 있다.
연결이 되면 전송지연(propagation delay)은 거의 없다.
그리고 동일한 상대방에 여러 번의 전송을 하더라도 경로는 동일하다.
패킷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패킷에 송신지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넣어 보내는 방식이다.
회선교환 방식과 달리 두 지점 사이에는 논리적인 연결이 지속되고, 물리적인 연결은 모든 기기들이 공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송효율이 높고, 타 통신기기에도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킷별로 우선순위도 적용할 수 있다.
회선교환방식은 연결이 아예 안될수도 있지만 패킷교환방식은 느리더라도 무조건 연결은 된다.
이러한 회선교환방식은 두 지점간 전송경로 설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
데이터그램이란, 컴퓨터 통신의 기본 단위로, 그 자체로 모든 것을 완비한 하나의 독립된 메시지이다.
따라서 각 패킷을 독립적으로 취급한다.
그리고 두 지점간 연결 절차가 아예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을 비연결형 서비스라고 한다.
그래서 특정 구간에 체증이 증가하는 경우, 유연하게 다른 경로로 수정할 수 있다.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
이름에 걸맞게 논리적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그래서 연결형 서비스라고도 부른다.
이미 연결이 된 상태니까 데이터그램 방식보다 전송속도가 빠르고, 더 많이 보낼 수 있다.
광고광고'전공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폴로지(Topology)의 종류와 장단점 (0) 2020.06.16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0) 2020.06.16 동기, 비동기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식 (0) 2020.06.16 리피터, 브릿지, 라우터, 게이트웨이의 특성 (0) 2020.06.15 xDSL 종류(ADSL/HDSL/SDSL/RADSL/VDSL) (0) 2020.06.15